728x90

 3차 1번 불합격하고, 이번 시험까지 총 4번의 시험을 치르는 동안 처음으로 킨텍스를 가봤다. 이전 3번의 시험은 모두 남미에서 봤는데, 3번 다 장소가 달랐다. 인원은 대충 150~300명 정도였고 어떤 곳은 호텔 회의실 빌려서 시험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응시인원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킨텍스의 규모와 한국 응시자 수를 보고 깜짝 놀랐다. 2/3차 응시생과 1차 응시생을 구분한 것으로 보이는데 몇천명 규모가 될 것 같다. 
 이패스에서 연필과 지우개를 나눠주는 풍경도 처음 겪어봤다. 고맙다 이패스코리아! CFA는 이패스코리아!
 규모가 커서 그런지, 아니면 그동안 불미스러운 일이 많았는지 남미 시험장보다 시험장 물품에 대한 통제가 강했다. 필통, 계산기 가죽커버 때문에 입실을 거부당해서 다시 물품보관소를 다녀와야 했다. 사람이 들어가고 나가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점심시간 2시간이 확실히 타이트했다. 

 그리고 진짜 시험 때 지우개로 책상 흔드는 인간 극혐이다. 작년엔 남미 애들은 에티켓이 없어서 그런 줄 알았는데, 한국에서도 지울 때마다 책상을 흔드는 인간이 옆에 앉았다. 요새 지우기 좋아서 스치기만 해도 지워지는데 어떤 지우개를 들고 다니나 싶다. 얼마다 예쁘게 쓰고 싶은지 엄청 지우더라. 
 한국사람이 많아서인지 필수적으로 영어로 진행해야 되는 부분 외 한국어로 안내를 해주는 것은 남미와 달랐다. 남미에서는 시험장에서는 무조건 영어로 안내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응시하면 약간 당황스러울 것이다. 예를 들어 240번, 239번 섹션 퇴실하세요 하면 알아 듣지 못하겠지? 근데 사람들이 나가니까 우르르 따라서 나가긴 하겠다.
 선진국에 가까운 우리나라 답게 시험장에 입실하면 고요하다. 정말 고요하다. 반면 남미는 한국사람들이 경험해볼 수 없는 수준의 시끄러움을 준다. 남미에서 시험볼 때 가장 괴로운 시간은 입실완료와 시험시작 사이였다. 우리나라에서 시험보면 귀마개를 가져갈 필요가 없다. 
 점심은 어떻게든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이다. 정 안되면 편의점에서 사먹으면 된다. 킨텍스 너무 좋다. 그런데 또 가고 싶지는 않다.

 이번 시험 공부량은 지난 번 불합격했을 때의 반 수준도 되지 않아서,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시험 전 불안함과 다르게 실제 문제풀이는 생각보다 할 만 했다. 역시나, 이번 3차 시험은 좀 쉬웠다는 평가가 많은 것 같다. 킨텍스를 또 가게 될 것 같다.

 어차피 성적발표 전까지는 3차시험 응시생으로 준합격자라는 정신승리를 할 수 있으니 그 시간을 즐겨 봐야 겠다. 

반응형

'CFA > Level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vel 3 에세이 작성 가이드  (0) 2018.10.04
CFA 3차시험 기출문제 모음 (2001-2017)  (0) 2018.10.03
2018년 CFA Level 3 불합격후기  (0) 2018.10.03
728x90

CFA 협회 홈페이지의 응시자 자료(Candidate resources) 중 에세이 작성 가이드(Tips for taking the essay exam)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답안 채점자들의 피드백


채점자들이 낮은 에세이 성적을 받은 답안에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이유가 있다고 밝혔다.

  •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으로, Common word list (discuss, support, etc), 답변을 하지 않았다. (discuss 하라고 했는데, support하거나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ip: 협회에서 제공하는 LOS Command Words를 반드시 학습해라
  • "Show your calculations" 문제의 경우, 계산과정이 적절하게 제공되지 않았다.
    Tip: 계산과정은 반드시 제공된 답안지 해당 문제란에 작성되어야 한다. 계산공식 또는 입력값이 정확하다면 결과값이 틀려도 부분 점수를 받을 수 있다.
  • 권고(Recommendation)와 정당화(Justification)를 요구하는 문제에 대한 답변을 얼버무렸거나, 권고 부분을 잊고 오직 정당화 부분에 대한 답변을 했다.
  • 문제(Question) 내에 구분된 부문 문제(part)를 무시했다. 
    Tip: 부분문제 중 답변을 안한 문제가 있어도 다른 문제는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art D를 못풀었어도 part E를 풀면 해당 점수를 받을 수 있다.
  • 자신있는 주제에 대해서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자신없는 주제에 답변할 시간이 부족했다.

시험장에서의 팁


신중하게  시험문제집을 읽어라

시험장에서 에세이 문제집을 읽을 때 다음 사항을 기억해라.

  • 1페이지에는 문제 리스트, 주제, 할당시간이 적혀있다.
  • 문제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총 할당시간과 부분문제 수에 대한 정보가 있다. "Question 2 has two parts (A, B) for a total of 18 minutes"
  • 문제에 이어진 굵은 글씨체의 지시는 답안작성 부분을 안내해준다. "Answer 2A on page 17
물어본 것에만 답변해라
  • 도입부에 문제와 직접적이지 않고 관련없는 내용을 기술하지 말아라.
  • 시험문제는 당신을 낚으려고 하거나, 아주 예외적인 것으로 당신을 괴롭히려는 것이 아님을 기억해라.
  • 적절한 가정이라면, 당신이 문제를 풀기 위해 적용한 가정사항들을 기술해라.
  • 답안이 명확하고 모순사항은 없는지 확인해라.
답안 작성은 정확하게 해라
  • 모든 에세이 문제는 2개 이상의 부분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고, 다음과 같은 답안 유형에 작성하면 된다.
    • 줄이 없는 백지 답안 유형. 마음껏 자신의 답안을 위해 디자인할 수 있음
    • 박스로 구조화된 답안 유형: 답안작성을 위한 구조적 가이드라인이 제공된 것으로 이에 맞춰 작성
  • 지정된 답안 작성 영역에 작성된 답안만 채점된다.
  • 계산과정으로 보이라고 요구하면 보여라.
  • 언어를 평가하는 시험이 아니므로, 답안이 명확하다면 문법이 정확할 필요는 없다. 
  • 문장보다는 간결하게 구절(phrase)로 표현하고, 글머리 기호를 사용하여 작성시간을 아껴라.
  • 일반적인 약자(CFA)나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된다. 근데 애매하면 그것이 뭔지 설명하는 것이 좋다.
  •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에만 점수가 부여된다.
  • 문제에서 의사결정을 요구한다면, 왜 그렇게 결정했는지 명확하게 설명해라. 만약 결정과정이 불투명하거나 모순이 있다면 점수를 받지 못한다. 
  • 채점자가 무시했으면 하는 부분은 줄을 긋거나 x표를 긋는 식으로 표시해도 된다.


반응형

'CFA > Level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Level 3 시험 후기  (0) 2019.06.18
CFA 3차시험 기출문제 모음 (2001-2017)  (0) 2018.10.03
2018년 CFA Level 3 불합격후기  (0) 2018.10.03
728x90

강사님들이나 먼저 합격하신 분들이나 모두들 기출문제를 꼭 보라고 강조하십니다. 

몇년치를 봐야 할 것이냐는 개인 취향의 차이로 볼 수 있으나, 기출문제를 열심히 봐야 한다는 것은 진리인 것 같습니다.

저는 기출문제를 모아놓고, 과목별로 분류하고 나서는, 지쳐서 풀어보지는 않았습니다.

그 결과는? 블로그의 다른 글을 보시면 됩니다...


아직 2018년도 기출이 안나온 것 같아서 우선 2001년~2017년 오전 기출문제 올려드립니다.

CFA Level 3 Morning Essay Q&A 2001-2017.rar

압축파일 암호는 holacfa.tistory.com 입니다. 


https://ift.world/sdm_downloads/past-essay-exam-relevancy-document/

위 링크와 같이 IFT에서 기출문제와 당해 커리큘럼을 비교해서 관련성 체크를 해주니까 참고하세요.

아직 기출문제의 19년 관련성 체크는 준비되지 않을 것 같네요.



반응형

'CFA > Level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Level 3 시험 후기  (0) 2019.06.18
Level 3 에세이 작성 가이드  (0) 2018.10.04
2018년 CFA Level 3 불합격후기  (0) 2018.10.03
728x90

2018 CFA 3차 시험 불합격 (탈!탈!탈!탈락!) 후기 입니다.


어쩐지 16년 12월 1차부터, 17년 6월 2차까지 너무 스무스하게 잘 진행된다고 느꼈습니다.

매번 시험 볼 때마다 붙는다고 확신할 순 없지만, 떨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라는 항상 애매한 수준의 공부를 해왔습니다.

3차시험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혹시 붙을 수도 있을까?라고 약간은 기대를 해서 인지 불합격 통보를 받았을 때는 마음이 아렸습니다!

이 짓을 더 해야 한다는 사실에...ㅠㅠ 하... 3차는 진짜 공부하는 재미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두 끝 차이로 떨어진 느낌인데, 1/2차를 한 끝 차이로 붙었으니 밸런스라고 생각합니다.

한 번 더 해봐야죠. 끝은 봐야 하니...


나태했던 수험기간이라서, 제대로 된 스케쥴 관리 기록이나, 서브노트 조차도 가지고 있지 않네요. 그래서 공유드릴 것이 없습니다.


저는 해외에서 3차 시험을 봤는데, 재수가 좀 없었습니다.


아날로그 손목시계를 가져갔는데, 시계에 약이 없었고 (요새 누가 아날로그 시계를 찹니까!라고 변명을...), 그리고 시험장에 시계가 없었습니다.
감독관이 2시간, 1시간, 30분, 10분 남았다고만 방송으로 알려줬습니다. 안그래도 주관식 답안 작성하기도 바쁜 와중에 언제 답안 작성을 멈춰야할지 모르니 10분 남기고는 그냥 포기 상태가 되었습니다. 19년 시험 전에 18년 오전 에세이 시험 기출문제를 협회에서 공개해줄텐데, 18년 시험장에 있었음에도 처음 볼 문제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이 시간대가 앞서 있으므로 웬만한 해외는 다 한국보다 시간이 느립니다. 제가 있는 곳은 한국보다 14시간 느린 곳으로 점심시간엔 월드컵 한국vs멕시코 축구경기 결과가 나와서 하이라이트 찾아보느라 귀한 점심시간을 날렸고, 오후시간에는 다음 날 시험본 국가의 월드컵 경기가 있어서 미리부터 행사가 있었는지 매우 시끄러웠습니다. 


2명이서 한 책상을 나눠썼는데, 제 옆에서 시험보던 사람이 지우개를 열심히 쓰는 사람이어서 책상이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안그래도 시험준비에 자신이 없었던 지라 정신적으로 나약했는데, 짜증이 더 나서 (+시계) 황폐화된 채 시험을 봤습니다.


쿨하게 수험준비 2년 만에 1/2/3차를 통과하나?라는 기대를 해봤는데, 역시 어떤 시험 앞에서도 자만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3차 시험을 앞두고 제가 얻은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실제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한다. 에세이 시험에서는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 


2. 윤리 1/2/3차 똑같은 것 같지만, 3차에서 더 어렵게 나온다. 공부 꼭 해야 한다.


3. 협회에서 허용한 시험장에 가져갈 수 있는 물품들은 다 챙겨가라. (특히 시계)


내년에는 합격 후기를 쓸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반응형

'CFA > Level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Level 3 시험 후기  (0) 2019.06.18
Level 3 에세이 작성 가이드  (0) 2018.10.04
CFA 3차시험 기출문제 모음 (2001-2017)  (0) 2018.10.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