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18 CFA 3차 시험 불합격 (탈!탈!탈!탈락!) 후기 입니다.


어쩐지 16년 12월 1차부터, 17년 6월 2차까지 너무 스무스하게 잘 진행된다고 느꼈습니다.

매번 시험 볼 때마다 붙는다고 확신할 순 없지만, 떨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라는 항상 애매한 수준의 공부를 해왔습니다.

3차시험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혹시 붙을 수도 있을까?라고 약간은 기대를 해서 인지 불합격 통보를 받았을 때는 마음이 아렸습니다!

이 짓을 더 해야 한다는 사실에...ㅠㅠ 하... 3차는 진짜 공부하는 재미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두 끝 차이로 떨어진 느낌인데, 1/2차를 한 끝 차이로 붙었으니 밸런스라고 생각합니다.

한 번 더 해봐야죠. 끝은 봐야 하니...


나태했던 수험기간이라서, 제대로 된 스케쥴 관리 기록이나, 서브노트 조차도 가지고 있지 않네요. 그래서 공유드릴 것이 없습니다.


저는 해외에서 3차 시험을 봤는데, 재수가 좀 없었습니다.


아날로그 손목시계를 가져갔는데, 시계에 약이 없었고 (요새 누가 아날로그 시계를 찹니까!라고 변명을...), 그리고 시험장에 시계가 없었습니다.
감독관이 2시간, 1시간, 30분, 10분 남았다고만 방송으로 알려줬습니다. 안그래도 주관식 답안 작성하기도 바쁜 와중에 언제 답안 작성을 멈춰야할지 모르니 10분 남기고는 그냥 포기 상태가 되었습니다. 19년 시험 전에 18년 오전 에세이 시험 기출문제를 협회에서 공개해줄텐데, 18년 시험장에 있었음에도 처음 볼 문제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이 시간대가 앞서 있으므로 웬만한 해외는 다 한국보다 시간이 느립니다. 제가 있는 곳은 한국보다 14시간 느린 곳으로 점심시간엔 월드컵 한국vs멕시코 축구경기 결과가 나와서 하이라이트 찾아보느라 귀한 점심시간을 날렸고, 오후시간에는 다음 날 시험본 국가의 월드컵 경기가 있어서 미리부터 행사가 있었는지 매우 시끄러웠습니다. 


2명이서 한 책상을 나눠썼는데, 제 옆에서 시험보던 사람이 지우개를 열심히 쓰는 사람이어서 책상이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안그래도 시험준비에 자신이 없었던 지라 정신적으로 나약했는데, 짜증이 더 나서 (+시계) 황폐화된 채 시험을 봤습니다.


쿨하게 수험준비 2년 만에 1/2/3차를 통과하나?라는 기대를 해봤는데, 역시 어떤 시험 앞에서도 자만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3차 시험을 앞두고 제가 얻은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실제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한다. 에세이 시험에서는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 


2. 윤리 1/2/3차 똑같은 것 같지만, 3차에서 더 어렵게 나온다. 공부 꼭 해야 한다.


3. 협회에서 허용한 시험장에 가져갈 수 있는 물품들은 다 챙겨가라. (특히 시계)


내년에는 합격 후기를 쓸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반응형

'CFA > Level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Level 3 시험 후기  (0) 2019.06.18
Level 3 에세이 작성 가이드  (0) 2018.10.04
CFA 3차시험 기출문제 모음 (2001-2017)  (0) 2018.10.03
728x90

2017 CFA 2차 시험 합격 후기 입니다.

2016 12월 시험으로 Level 1을 통과했어서, 물리적으로 시간이 많이 부족했었는데 운이 좋아 합격하게 된 것 같습니다.

 

수험전반

 

1 25일에 1차 합격메일을 받고, 바로 2차 시험에 등록했습니다.

이패스코리아의 2차 강의를 수강했으며, 첫 강의는 1 28일부터 들었습니다.

동영상강의 수강기록을 시험전날까지 정리해보니 다음과 같네요.

 

 

하루에 15강을 들은 날이 있네요. 많이 쫓겼었다 봅니다.

1.2~1.4배속으로 들었어서 대략 10시간 정도 동영상 강의를 들었었던 것 같습니다.

일단 1월말~2월초까지 1차 합격빨로 열심히 하다가 3월말까지 약간 정신을 놓았습니다.

당시에는 동영상 수강을 통해 공부를 했기 때문에, 수강기록이 없다는 것은 공부를 안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리고 5월경부터 수강기록이 없는 이유는 그 때부터는 문제풀이와 시험걱정에 집중했기 때문입니다.

원래 계획은 슈웨져노트 예제/연습문제, CFA 웹사이트의 Topic test와 여러 개의 Mock Exam을 풀어보는 것이 었는데…

결과적으로는 반도 달성하지 못했고 시간이 부족해서, 문제와 답을 동시에 보면서 벼락치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모든 주제를 완벽하게 하고 싶었으나, 문제풀이 후 자신감을 잃어갔고, 결과적으로는 아는 주제에서 나오면 틀리지 말자고 타협해버렸습니다.

결과적으로는 5월초까지 공부한 것까지만을 리뷰하면서 시험에 대비했습니다.

 

과목별 결과

 

Item Set

Q#

Topic

Max Pts

<=50%

51%-70%

>70%

-

Alternative Investments

18

-

-

*

-

Corporate Finance

36

-

-

*

-

Derivatives

36

*

-

-

-

Economics

18

-

-

*

-

Equity Investments

54

-

-

*

-

Ethical & Professional Standards

36

-

*

-

-

Financial Reporting & Analysis

72

-

-

*

-

Fixed Income Investments

36

-

-

*

-

Portfolio Management

18

-

*

-

-

Quantitative Methods

36

-

*

-

 

시험보기 전 스스로 생각하는 취약과목은 윤리와 통계였습니다.

실제 제가 정리하던 인강 진행표를 보면 두 과목만 부진합니다.

 

과목

우선순위

Weights

강의수

강의수강

진행률

Equity Valuation 1 20.00% 27 27 100%
Financial Reporting Analysis 2 17.50% 22 18 82%
Fixed Income 3 15.00% 21 21 100%
Derivatives 4 10.00% 19 19 100%
Corporate Finance 5 10.00% 16 16 100%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6 12.50% 15 3 20%
Quantitative Methods for Valuation 8 7.50% 15 5 33%
Portfolio Management 7 7.50% 16 16 100%
Economics for Valuation 9 7.50% 12 12 100%
Alternative Asset Valuation 10 7.50% 15 15 100%

 

윤리는 동영상 강의를 거의 안봤고, 책으로 공부도 못했습니다. 그저 막판에 문제와 답을 번갈아보면서 1차 시험의 기억을 더듬어서 준비했습니다.

통계는 시계열분석 부분을 포기해서 시험에 나올까 매우 두려웠고, 우려는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다행히 고민없이 찍었어서 다른 문제에 투입할 시간을 벌었습니다.

파생/채권/포트폴리오는 확실히 자신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점수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특히 파생은 왜 저런지 알고 싶네요.

기업재무와 대안투자는 생각보다 범위가 제한적이고 난이도가 높지 않아서 투입 대비 효과가 좋은 과목들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회계와 주식도 나름 체계적이고 시험주제가 제한적이라서 공부할만한 것 같습니다.

파생은 돌이켜보면 다 아는 것 같은데, 문제풀이 연습이 부족해서 개념과 문제의 연결이 잘 안되서 망한 것 같습니다.

2차 삼대장 회계/주식/기업재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 운좋은 합격의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시험을 보고 나서 합격할지 여부를 알 수가 없어서, 2차를 다시 준비하는 상상을 해봤었습니다.

탈락결과를 받았다면 2차는 다음과 같이 준비해보려고 했습니다.

내용공부(개요 파악 수준) à Item Set 풀이 (단순 예제풀이는 무의미) à Item Set 문제풀이 리뷰하며 내용 심화 학습

 

이제 3차를 공부하러 가야 겠습니다.

어서 졸업하고 싶습니다… 공부할 생각하니 토나옵니다.

 

반응형

'CFA > Level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CFA Level 2 요점정리, 요약노트  (2) 2017.07.09
728x90

운좋게 2차 시험까지 합격함에 따라, 내년에 3차 시험을 응시하게 되었습니다.

3차 시험등록, 인강 오픈, 교재 수령 등 비용 지불이 끝나고 시험만 남게 되니, 얼추 이 시험에 얼마나 쓰는 것인지 파악이 되는 것 같아서 정리해봅니다.

혹시 아직 CFA 시험을 준비해볼까 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용 내역을 보시기에 앞서, 고려하셔야 할 제 개인적인 상황을 정리해봅니다.

1. 1차는 친구와 같이 이패스 코리아의 인강을 수강하여 비용을 반반씩 나눴습니다. 친구도 1차를 같이 붙었는데, 바로 2차를 보긴 어렵다고 해서 그 이후로는 저 혼자 듣게 되었습니다.

2. 해외 근무중인데, 12월 1차시험을 주재국에서 치를 수가 없어서 인접 국가로 이동하여 시험을 봤습니다. 항공권, 호텔 숙박비 등이 추가로 들었습니다. 제 개인사정으로 발생한 비용은 "특수비용"으로 구분했습니다.  

3. 혼자 강의를 듣게 되면서 이패스코리아의 2&3차 패키지를 구매했습니다. 각 차별 1회는 슈웨저노트를 무료로 제공해줘서 나름 교재비를 아꼈다고 생각합니다. 3차 시험에서는 커리큘럼북 프린트 버젼을 구매했습니다.

4. 시험등록 일정에 따라 조기등록/일반등록/지연등록으로 구분해서 응시료에 차등을 둡니다. 1차를 12월에 응시하게 되면, 합격자 발표 나고 바로 2차시험에 등록해도 일정상 일반등록 응시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제가 CFA 시험 관련하여 지출한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레벨

통화

금액

구분

원화금액

2016 CFA Level1 Package(All Lecture+Final Review)12월

1

 

 

학원비

990,000
2016 CFA Level1 Package(All Lecture+Final Review)12월-정산

1

 

 

학원비

(495,000)
2016 CFA Level1 매직노트(핵심요약집) 

1

 

 

교재비

12,500
2016 CFA Level1 매직노트(핵심요약집)-정산

1

 

 

교재비

(6,250)
2016 CFA Level1 Test Bank 문제집[이패스코리아]

1

 

 

교재비

50,000
2016 CFA Level1 Test Bank 문제집[이패스코리아]-정산

1

 

 

교재비

(25,000)
Program Enrollment fee

1

USD

450

응시료

517,500
Level 1. Late registration fee December 2016

1

USD

1280

응시료

1,472,000
Level 1 항공권

1

COP

685230

특수비용

266,815
Level 1 호텔 - Swissotel

1

USD

35.07

특수비용

41,383
Level 1 호텔 - Palmetto Hotel

1

USD

75.04

특수비용

88,547
Level 2&3 인강 Package

2

 

 

학원비

950,000
Level 2&3 인강 Package

3

 

 

학원비

950,000
Level 2 registration fee June 2017

2

USD

930

응시료

1,099,923
Level 2 슈웨져노트 - 이패스 무료 제공

2

 

 

교재비

0
Level 3 registration fee June 2018

3

USD

650

응시료

767,000
Level 3 Print Curriculum

3

USD

150

교재비

177,000
Level 3 Print Curriculum Shipping

3

USD

20

교재비

23,600
Level 3 Print Curriculum Shipping - 현지 부담비용

3

COP

34000

특수비용

13,260
Level 3 슈웨져노트 - 이패스 무료 제공

3

 

 

교재비

0
Level 3 슈웨져노트 - 이패스 무료 제공 (국제배송비)

3

 

 

특수비용

115,700
Level 3 슈웨져노트 - 이패스 무료 제공 (국제배송비) - 현지 부담비용

3

COP

34000

특수비용

13,260
1차비용   2,912,495
2차비용   2,049,923
3차비용   2,059,820
합계   7,022,238

 

항목별로 표를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응시료

학원비

교재비

특수비용

합계

1차비용

1,989,500 495,000 31,250 396,745 2,912,495

2차비용

1,099,923 950,000 0 0 2,049,923

3차비용

767,000 950,000 200,600 142,220 2,059,820

합계

3,856,423 2,395,000 231,850 538,965 7,022,238

 

결코 싼 시험이 아닙니다. 어떤 커리어 개발 목적에서는 MBA보다 가성비가 좋은 과정으로 평가되기도 하는데, CFA가 싸서가 아니라 MBA가 비싸서 그런 것 같습니다. 시험에 한 번 떨어질 때마다 1~2백만원은 날린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CFA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A 시험과목  (0) 2017.07.08
CFA 시험 각 Level 특징 및 수험전략  (1) 2017.07.08
BA II Plus Professional 재무용계산기 사용법  (0) 2017.07.05
CFA 공부를 시작한 계기  (0) 2016.10.02
728x90

블로그에 제가 작성한 CFA Level 1 정리노트 (2016.12월 시험)가 있습니다.

2017년 Level 2 시험을 준비하면서도 나름 노트를 만들긴 했는데, 주로 손글씨로 작성해서 여기에 올리기에는 너무 지저분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도 시험보기 전에 인터넷 서핑을 통해 CFA 선배님들이 작성해놓은 노트들을 찾았고, 혹시나 필요하신 분이 있을까 하여 링크를 첨부합니다.

 

블로그 스노볼의 비밀: CFA Level2 요점정리 (2006년 시험)

페이지 수가 많지 않고, 상당히 압축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블로그 Econ & Financial Knowledge's Playground: 알기쉬운 CFA 2차 자료 (2013년 시험)

정리가 체계적이고 자세합니다. 게다가 한글로 작성해주셔서 시험보기 전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나중에 제 정리노트도 올려볼까 고민중입니다.

반응형

'CFA > Level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CFA Level 2 합격 후기  (2) 2017.08.30
728x90

CFA의 시험과목은 총 10개입니다. Level별로 뜯어보면, Level 1&2 - 10과목, Level 3 - 7과목이 되겠습니다. 쉽게 이해하면 10과목씩 시험을 보는데, Level 3에서는 Essay를 작성하는 대신 과목 3개가 빠졌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매년 커리큘럼에 변동이 있어서 각 Level에서 다루는 주제들의 범위가 바뀌기도 합니다. CFA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과목 및 시험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윤리)

원어민들도 어려워한다는 썰이 있는 윤리과목입니다. 레벨별로 커리큘럼의 차이가 없는 유일한 과목이기도 합니다. 바꿔말하면, Level 1 때 마스터해놓으면 Level 3까지 상당히 쉽게 갈 수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Code&Standard가 큰 줄기이며 각 레벨별로 곁가지들이 조금씩 붙습니다. 내용을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으나, 실제 문제풀이에서 답을 결정하는 과정이 상당히 고민스럽습니다. 사회공통의 윤리규범이라기 보다는 업계에서 통용되는 윤리규범을 가르치는 것임을 항상 염두해야 합니다. 상식으로 접근하면 큰 코 다치는 과목입니다.

 

Quantitative Method (통계)

Level 1에서는 고등학교 통계, 대학교 통계학개론까지를 다루고, Level 2에서는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등을 다룹니다. Equity나 Portfolio의 이론의 배경을 제공해줍니다. 통계를 이해하고 있어야 해당 Topic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몰라도 기계적으로 문제풀이는 가능합니다. Level 3의 시험과목에는 빠져있습니다.

 

Economics (경제)

Level 1에서는 경제학개론 수준으로 다루고, Level 2에서는 외환(환율), 경제성장 등을 다룹니다.

 

Financial Reporting & Analysis (재무제표 분석)

Level 1에서는 핵심과목으로 회계 전반에 대해서 배웁니다. Level 2에서는 기업간 투자, 퇴직연금, 환산재무제표 등이 주요 주제입니다. Level 2까지만 열심히 하면 Level 3에서는 해방입니다.

 

Corporate Finance (재무관리)

투자자의 입장이 아닌 기업 입장에서의 자본의 배분, 성과 측정 등에 대해 다룹니다. 다른 과목들에 비해서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서, 투입 대비 성과가 좋은 편입니다. Level 3에서는 볼 일 없습니다.

 

Equity Investments (주식분석)

훗날 전업투자를 고려하신다면 열심히 하셔야 하는 과목입니다. Level 1에서는 맛보기로 등장하고, Level 2에서는 핵심으로 부상합니다. Level 2의 핵심키워드 Pricing & Valuation을 상징하는 과목입니다. 주식의 가치평가 이론을 다방면으로 다룹니다. 주식시장을 바라보는 안목을 길러줍니다.

 

Fixed Income (채권)

Level 1에서는 맛보기로 채권의 개념, 종류, 용어 들을 다루고, Level 2에서는 맛 좀 보라며 Pricing & Valuation 단계로 넘어갑니다. 파생상품과 세트로 계산하느라 괴롭습니다.

 

Derivatives (파생상품)

Level 1에서는 맛보기로 파생상품의 개념, 종류, 용어 들을 다루고, Level 2에서는 맛 좀 보라며 Pricing & Valuation 단계로 넘어갑니다. 채권과 세트로 계산하느라 괴롭습니다.

 

Alternative Investments (대안투자)

Level 2에서 부동산, 사모펀드, 비상장회사 평가 등을 다룹니다. 계산문제가 있긴 하지만, 단순한 편입니다.

 

Portfolio Management and Wealth Planning (포트폴리오)

Level이 올라감에 따라 비중이 점차 늘다가 Level 3의 핵심과목으로 등판합니다. CFA의 인력 양성 목표는 Portfolio에 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혹시 CFA 준비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이 점을 꼭 생각하셔야 합니다). Level 3 시험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과목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